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년 장마기간, 언제부터 일까?

카테고리 없음

by 2팀장 2023. 6. 14. 22:06

본문

2023년 장마기간, 언제부터 일까?

안녕하세요, 한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장마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2023년 장마철에 대해 우리가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지에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올해 5일 빼고 비'라는 괴담이 있을 정도로 날씨에 대한 소문이 흉흉합니다.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는지 아시나요? 태풍 이름 정하는 방법, 태풍 이름 순서

장마란?

장마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인접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하계 기후의 특성으로, 이 때문에 장마를 '제5의 계절'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반도의 경우 장마전선이 공급하는 강수는 전체 강수량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여, 한반도에 위치한 대부분의 하천은 매우 높은 하상계수를 갖고 있다.

 

장마 기간은 평균적으로 30~35일이나, 이 기간 동안 항상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비가 내리는 날은 15~20일 정도로, 이 중에서도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경우는 12일에서 16일에 불과하다. 다만 장마 기간은 연도별로 편차가 매우 크며, 이상 기후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예컨대 2020년 장마는 8월 중순까지 이어지며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하였으나 이듬해인 2021년의 장마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매우 짧은 기간 사이에 끝나 버렸다

 

또한 1일 강수량의 측면에서도 장마 기간이라고 해서 종일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보통은 갑작스럽게 쏟아지다가 그치기를 반복하는 집중호우의 형태이다. 특히 최근 장마는 '야행성 장마'라고 일컬어지며 낮에는 소강상태를 보였다가 밤만 되면 국지성 호우가 세차게 쏟아지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구름이 많은 날의 경우 낮에 지상보다는 오히려 상층이 가열되는 경우가 있는데, 밤에는 구름이 하층의 열을 가두는 반면 상층은 식으므로 대류가 발달하는 원리다. 실제로 여름철 강수시간을 보면 소나기가 낮에 온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밤이 55%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나무위키

장마평년값

 

남부지방- (전라도, 경상도, 울산, 포항, 부산, 경남권 등)

장마 예상일 : 6월 23일 ~ 7월 24일(약 17일)

중부지방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대전, 세종, 충남

장마 예상일 : 6월 25일 ~ 7월 26일(약 17일)​

제주지방

장마예상일 : 6월 19일 ~ 7월 20일(약 17일)

 


우선, 장마철의 장마평년값을 보면, 중부지방, 남부지방, 제주지방 모두 장마 기간이 대략 한 달 정도로 비슷하며, 강수일수도 17~18일로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이는 한국의 장마 시즌이 대체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평균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중부지방이 가장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그다음으로 제주지방, 남부지방 순입니다. 이는 지역의 기후 조건과 지형적 특성이 장마철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국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

다음으로, 장마철의 지역별 평균 강수량 계급일수를 보면, 가장 많은 해와 30년 평균, 그리고 2023년의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일강수량 80mm 이상일 수와 1시간 강수량 30mm 이상일 수 모두 변동성이 큼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장마 기간 동안의 강수 패턴이 매년 다르며, 특히 강한 강수를 경험하는 빈도가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 계급일수

전국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를 보면, 가장 많은 해와 가장 적은 해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장마의 강도가 해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

마지막으로, 장마철의 지역별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를 보면, 각 지역마다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다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지역의 기후 조건과 지형적 특성이 장마철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장마철은 한국의 중요한 기후 현상 중 하나이며, 그 특성과 패턴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장마철의 강도는 해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우리가 장마철 동안의 생활을 계획하고, 농업, 건설, 환경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통계 데이터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향후 장마철의 패턴이 어떻게 변화할지, 기후 변화가 장마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더 복잡한 기후 모델링과 예측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기상학자들이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기후통계분석:통계분석:장마]

중부(26) 서울경기: 서울(108), 인천(112), 수원(119), 강화(201), 양평(202), 이천(203) 강원영동: 속초(90), 강릉(105), 태백(216) 강원영서: 철원(95), 대관령(100), 춘천(101), 원주(114), 인제(211), 홍천(212) 충북:

data.kma.go.kr